ISO 매뉴얼 만들기 – (13) 경영목표

※ 경영목표는 공식 용어는 아니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품질목표, 환경목표를 대신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최고경영자가 표명한 경영방침을 실행하기 위해서 관련 부서 및 계층, 프로세스는 경영방침을 구체화한 경영목표를 수립해야 한다.
경영목표는 구체적인 성과 수준으로 직접 표현되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세부목표로 규정될 수 있다. 이 때 세부목표는 측정 가능하여야 하며 구체적인 기간(time frame)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ISO 14004:2018, 6.2.2)
경영목표를 수립할 때 지켜야 할 원칙은 다음과 같다(6.2.1).
1) 경영방침과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것은 최고경영자가 정한 경영방침의 의지와 광범위하게 일관되고 조화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ISO 14001:2015, A.6.2).
2) 측정 가능해야 한다. 측정 가능하다는 것은 명시된 척도에 의한 정량적 또는 정성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SO 14001:2015, A.6.2). 실제 현장에서 경영방침과 경영 목표를 혼돈해서 쓰는 경우가 많은데, 경영목표는 측정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작성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불량률을 줄이자', '에너지를 절약하자' 등의 추상적인 구호는 세부목표를 따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경영목표로는 부적합하다.
3) 적용되는 요구사항이 고려되어야 하며, 제품 및 서비스의 적합성과 고객만족의 증진과 관련이 있어야 한다.
4) 모니터링 되어야 한다. 모니터링을 통해 성과측정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 가능해야 할 것이며, 경영목표의 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경영지표의 개념을 사용할 수 있다.
5) 의사소통 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갱신되어야 한다. 경영방침과 목표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조직의 지속적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며, 의사소통은 또한 피드백 절차와 검토 주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SO 9004:2009, 5.4).
조직은 경영목표에 대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고, 그에 대한 정보는 목표달성에 책임이 있는 자와 운용관리와 같이 관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정보가 필요한 다른 개인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ISO 14004:2008, 6.2.2).
경영목표를 수립했다면, 그것을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 기획해야 하며, 다음 사항을 결정해야 한다(6.2.2).
1) 달성 대상
2) 필요 자원
3) 책임자
4) 완료 시기
5) 결과 평가 방법
결과 평가 방법을 부연 설명하자면, 진척상황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지표개념을 포함하여 평가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지표의 종류를 열거하면 KPI(핵심성과지표), ECI(환경여건지표), EPI(환경성과지표), MPI(경영성과지표), OPI(운영성과지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ECI, EPI, MPI, OPI 등의 환경관련 지표를 통해 환경성과를 평가하는 프로세스를 EPE(환경성과평가, environmental performance evaluation)라고 부른다.
① KPI(핵심성과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는 조직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특정 관점에서 중요도와 관심을 도출시키는 성과지표이다(ISO 14031:2013, 3.17).
최상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조직내 관련 기능 및 계층의 성과지표로 차례차례 전개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조직의 특성 및 규모, 제품, 프로세스 활동에 적절해야 한다.
KPI 선정시에는 고객의 니즈 및 기대사항, 프로세스의 효율성 및 효과성, 자원의 사용, 재정적 성과, 법적 및 규제적 요구사항 등을 고려하도록 한다(ISO 9004:2009, 8.3.2).
② ECI(환경여건지표, environmental condition indicator)는 지방, 지역, 국가 또는 범 지구적 환경여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환경성과지표이다(ISO 14031:2013, 3.5).
예를 들면 주요 수계의 특징과 품질, 지역의 대기질, 멸종 위기에 있는 동식물군 등을 들 수 있다(ISO 14031:2013, A.4.4.1).
③ EPI(환경성과지표,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icator)는 조직의 환경성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지표이다(ISO 14031:2013, 3.11). 이것은 크게 두가지 지표로 다시 나눌 수 있다.
ㄱ) MPI(경영성과지표, management performance indicator)는 조직의 환경성과에 영향을 주는 경영활동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성과지표이다(ISO 14031:2013, 3.18).
조직의 환경성과에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수 있는 교육훈련, 법규 요구사항, 자원 배분 및 효율적인 활용, 환경 비용 관리, 제품 개발, 문서화 또는 시정조치 등과 같은 사안들을 관리하는 조직의 능력과 노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표라고 이해할 수 있다(ISO 14031:2013, 4.2.2.3).
예를 들면 종업원이 제출한 환경 개선 제안의 수, 환경 사고 대응시간, 수행된 비상훈련 빈도 등을 들 수 있다(ISO 14031:2013, A.4.2.2)
ㄴ) OPI(운영성과지표, operational performance indicator)는 조직 운영과정에서의 환경성과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성과지표이다. (ISO 14031:2013, 3.19).
조직의 투입물, 운영프로세스, 장비와 산출물 등을 목록화 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는 지표이다(ISO 14031:2013, 4.2.2.4).
예를 들면, 제품 단위당 사용된 재료의 양, 사용된 유형별 에너지량, 폐기물의 양 및 형태 등을 들 수 있다(ISO 14031:2013, A.4.3.2)
지표는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에 적합하여야 하고 경영방침과 일관성이 있어야 하며 실용적, 비용 효과적이고 실현가능성이 있어야 한다(ISO 14004:2018, 6.2.4).
각종 지표를 통해 경영목표를 수립했다면 어떤 프로세스를 통해 경영목표를 달성할 지 결정하도록 한다. 즉, 경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을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어떻게 통합할지 고려해야 한다(ISO 14001:2015, 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