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인증 자료실

ISO 매뉴얼 만들기 – (24) 환경경영시스템의 리스크 관리와 비상사태 대응(EMS)

이위원 2020. 5. 27. 15:20

 

환경경영시스템(EMS, ISO 14001)의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는 품질경영시스템(QMS, ISO 9001)의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와 약간의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품질경영시스템에서는 조직의 내외부 이슈와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의 출처(Resource)로 활용하였다면, 환경경영시스템에서는 거기에 더해서 환경측면과 준수의무사항이라는 정보를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리스크 관리 접근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지는 조직내 권한의 문제이므로, 조직의 상황에 맞는 방법을 자유로히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측면, 준수의무사항 그리고 기타 이슈 및 요구사항을 규명하고 각각의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규명할 수도 있고, 환경측면의 규명 내용에 다루어 질 필요가 있는 리스크와 기회의 규명 내용을 통합할 수도 있다(ISO 14004:2018, 6.1.1).

환경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의 결과물은 조치계획(6.1.4)과 환경목표의 수립(6.2)에 입력원이 되는 것은 품질경영시스템과 동일하다. 다만, 환경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의 결과물에는비상상황의 규명이 포함되어야 한다. 비상상황이라 함은 실제 또는 잠재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즉시 대응이 필요한 계획되지 않은 또는 예상하지 못한 사건이다(ISO 14004:2018, 6.1.1).

비상상황 규명을 완료했다면 그에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를 수립, 실행 및 유지해야 한다(ISO 14001:2015, 8.2). 비상상태 대비 및 대응 프로세스를 계획할 때, 조직은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ISO 14001:2015, A.8.2 / ISO 14004:2018, 8.2 참조).

a)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현장의 특징을 고려한다.

: 인화성 액체, 폭발성 물질, 압축가스 누출 등의 사고 등 실제 발생가능한 비상상황을 가정하여 작성한다.

b) 비상사태 대응을 위한 필요 장비 및 자원을 예측하여 준비한다.

: 소화기, 방화사 등 시설 및 장비 뿐만 아니라, 관련 화학물질의 MSDS 비치 등 필요 정보도 포함된다.

c) 인근 시설이나 주택 등에 미칠 수 있는 비상상황의 잠재성을 고려한다.

d) 내외부 의사소통 프로세스를 작성한다.

: 비상 조직도 작성과 각자의 책임, 연락방법을 기재하고, 인근 소방서나 누출 처리를 담당할 업체 연락처를 확보한다.

e) 대피 경로 및 집결장소를 결정한다.

f)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대응방법을 수립해야 한다.

g) 정기적인 교육훈련 계획을 수립한다.

: 비상사태 대응에 대한 효과성을 검토하고, 훈련 또는 실제 비상사태 시 참여할 인원의 적격성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내용이어야 한다.

h) 교육훈련 또는 실제 비상사태 시 대응에 대한 교육일지, 시정 예방조치 등의 사후 평가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비상상황 대응에 대한 고려사항은 초기 대응조치 뿐만 아니라 2차 환경영향(예: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 발생 가능성) 또한 고려해서 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