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인증의 사후심사 준비 사항

ISO 경영시스템(ISO 9001, 14001, 22000, 37001, 45001 등) 인증을 획득한 업체라면 대부분 1년 안에 사후 심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사후심사는 주기적으로(보통 1년) 진행해야 하며, 그러지 않을 경우 인증이 취소가 됩니다.
인증 취소가 되면, 인증원마다 정책상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인증서 반납과 인증원, 인정기관의 전산망 취소 등의 조치가 실시됩니다.
그렇다면, 사후 심사를 진행하기 위해서 담당 업체에서 준비해야 되는 사항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영시스템 운영 기록
ISO 경영시스템을 1년 동안 운영하셨다면, 최초 심사 이후 운영한 기록들을 준비해 주십시오. 예를 들면, 제품의 적합성 확보를 위해 최종검사 성적서를 작성해야 한다면 그 성적서들을 확인할 수 있게끔 준비해 주세요.
심사원들이 심사를 하기 위해서는 담당자의 인터뷰와 그에 대한 증거 서류를 제시해 주셔야 하기 때문에 ISO 경영시스템을 적절히 운영했다는 증거 서류를 확인하게 됩니다. 물론 심사를 위하여 억지로 평소에 작성하지 않던 문서들을 준비하는 것은 회사의 경영시스템 진단이라는 심사의 목적에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가급적 실제 운영하고 계시는 경영시스템 그대로를 보여주실 것을 권장합니다.
2. 매뉴얼, 절차서, 지침서
경영시스템을 규정하고 있는 매뉴얼, 절차서, 지침서, 기준서 등을 준비해 주세요.
3. 문서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록
매뉴얼과 절차서, 지침서, 양식 등의 개정이력과 보유 현황을 보기 쉽게 정리한 문서목록표 또는 문서관리대장과 같은 기록
4. 내부심사, 경영검토
ISO 경영시스템을 운영하신다면, 내부심사와 경영검토를 실시해야 하며, 관련 기록들은 심사 보고서에 따로 기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관련 기록을 준비해 주세요.
5. 심사 당일 일정 확인
인증 담당자, 각 부서 인터뷰 대응자, 대표이사 등 인증심사에 참여하는 인원의 일정이 다른 일정과 겹치지 않게 조율해 주세요
사후 심사가 진행되기 전에 미리 심사원과 의사소통을 통해 일정 조율 및 준비사항 등을 미리 확인하시면 원활한 심사 진행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