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를 운영하시다 보면 고객 요구, 타 인증 획득, 신용 평가 등의 이유로 ISO 9001, 14001, 37001, 45001과 같은 경영시스템 인증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ISO 경영시스템 인증의 신청 방법과 준비 사항, 진행 절차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에 대한 간략한 해결 방안에 대하여 서술 하겠습니다.
◆ 신청 방법
1. 비용 알아보기
인증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예상 비용과 회사의 예산이 적절한지 우선 확인해야 하며, 회사의 사정에 따라 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한 컨설팅 필요여부도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심사비용은 회사의 직원 수와 위치, 사업장의 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하단의 상담 신청을 이용하시면 비용 견적에 대한 빠른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1. 경영시스템 구축
심사를 받기 위해서는 경영시스템 매뉴얼과 절차서, 지침서 등을 작성하여 경영시스템을 구축하셔야 합니다. 경영시스템 구축은 회사의 자원을 활용하여 자체 구축하시거나, 컨설팅을 이용하여 구축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회사 내 적정한 인적자원 여부와 시간을 고려하셔서 컨설팅 여부를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경영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구축하시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매뉴얼과 절차서 등의 참고자료가 필요합니다. 아래 블로그의 문서함 메뉴에는 ISO 9001, 14001, 22000 매뉴얼과 절차서 자료들이 있으니, 이웃이 아니신 분은 이웃신청 후 관련 자료를 다운받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 신청서류 작성
견적을 통해 인증을 받기로 결심하셨다면, 심사 진행을 위한 서류 작성 과정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각 인증원마다 필요서류가 약간씩 상이하지만, 공통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신청서, 계약서(인증원 양식)
② 사업자 등록증, 영업허가증(해당시)
③ 4대보험 가입 증명서 또는 조직도(인원 확인을 위한 증거서류)
④ 매뉴얼, 절차서 등 경영시스템 관련 문서
⑤ 제조흐름도, 품목제조보고서 등(해당시)
위에 적힌 서류들은 계약서 작성 전에 담당 컨설턴트 또는 심사원과 함께 준비하시면 되므로, 부담없이 준비하실 수 있습니다.
3. 심사 실시
인증 심사 계약 체결 후, ISO 인증을 최초로 득하시는 경우(만료된 인증서나 유효하지 않은 인증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1차, 2차 심사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1차 심사는 경영시스템 구비여부를 파악하는 문서심사 위주로 진행을 하고, 2차 심사는 경영시스템의 실제 운영과정을 살펴보는 심사를 하게 됩니다. 둘 다 심사원이 업체를 방문하여 심사를 진행하며, 1차 심사와 2차 심사는 최소한의 기간(약 1주일)을 두고 진행해야 하므로 인증서 발부 기한 계산 시 참고하셔야 합니다.
4. 인증서 발부
심사가 무사히 끝났다고 가정할 경우, 심사팀이 작성한 심사보고서를 인증원에 제출하게 되고, 인증원은 심사보고서의 적합성 등을 확인한 후 인증서를 발부하게 됩니다. 심사가 끝난 후 인증서 발부까지의 기간은 사정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2주정도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5. 인증서 수령
인증서 발부는 전자문서와 종이매체 두가지 형태로 발부됩니다. 적합한 인증서는 인증원과 인정기관의 인장이 찍혀 있으며, 인정기관의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적합한 ISO 인증서를 발부받으셨다면 고객 요구 시 해당 인정기관에서 조회가 가능하다는 점을 말씀하시면 됩니다. 물론 인증서 발부 후 인정기관의 홈페이지 등록 기간까지는 약간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 알아두시면 좋은 기타 정보
ISO 경영시스템 인증에 대해 생소하신 분이시라면, 우선 ISO 경영시스템 인증이 무엇인지를 먼저 파악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인증의 의미와 구조를 알게 되면, ISO 인증 획득 후 활용의 폭이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ISO 경영시스템의 기본개념에 대한 설명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시면 보다 이해가 쉬우리라 생각합니다.
'ISO인증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 매뉴얼 만들기 – (24) 환경경영시스템의 리스크 관리와 비상사태 대응(EMS) (0) | 2020.05.27 |
---|---|
ISO 인증 컨설팅의 절차, 비용 및 효과 (0) | 2020.05.27 |
ISO 매뉴얼 만들기 – (23) 운용기획과 관리 (0) | 2020.04.21 |
ISO 매뉴얼 만들기 – (22) 리스크 관리의 실무 적용 (0) | 2019.11.18 |
ISO 매뉴얼 만들기 – (21) 문서화된 정보의 관리 (0) | 2019.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