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살펴본 리스크 및 기회, 중대한 환경측면, 준수의무사항 등 3가지 사항을 다루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 조직은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치 계획은 경영목표 수립, 운용관리, 비상사태 대비, 공급자 평가와 같은 프로세스에 통합하여 실행할 수 있다(ISO 14004 : 6.1.4).
예를 들면, 환경측면 분석을 통해 화재의 발생이라는 중대한 환경측면이 드러났다면 이것은 다루어 질 필요가 있는 리스크 및 기회인 것이며, 조치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이 때 화재의 원인이 화학물질이라면 공급자 평가를 통해 보다 안전한 대체 화학물질 공급을 꾀할 수 있고, 화학물질 사용제거를 위한 환경목표를 수립하여 실행할 수도 있으며, 화재발생 시 대응을 위한 비상사태 대응 프로세스를 수립하여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조치계획을 수립하였다면 취해진 조치에 대한 효과성을 밝혀야 한다. 주기적인 모니터링 및 분석, 평가를 통해 효과성을 평가하여 미흡한 부분은 개선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조치계획을 실행할 때에는 비용을 고려하여 실행가능하고 적절한 수단을 간구하여야 한다. 즉, 최적가용기술(best-available techniques)을 사용할 것을 고려해야 한다. 조직이 감당할 수 없는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실행불가능으로 이어지는 결과만 초래하기 때문이다.
'ISO인증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 매뉴얼 만들기(QMS) – (14) 변경의 기획 (0) | 2018.12.09 |
---|---|
ISO 매뉴얼 만들기 – (13) 경영목표 (0) | 2018.12.09 |
ISO 매뉴얼 만들기(EMS) – (11) 준수의무사항 (0) | 2018.12.08 |
ISO 매뉴얼 만들기(EMS) – (10) 환경영향등록부 (0) | 2018.12.08 |
ISO 매뉴얼 만들기(EMS) – (9) 환경영향평가 (0) | 2018.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