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시스템을 수립, 실행, 유지 및 지속적 개선을 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자원을 제공해야 한다(ISO 9001:2015, 7.1.1). 이러한 자원의 종류에는 프로세스의 실행과 운용, 관리에 필요한 인적자원부터 설비 장비와 같은 기반구조, 사회적 심리적 물리적 환경과 같은 프로세스 운용 환경, 제품 및 서비스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한 모니터링 자원과 측정자원, 프로세스 운용에 필요한 내외부 출처의 조직의 지식등이 있다.
1) 인적자원
경영시스템의 효과적인 실행 및 각종 프로세스의 운용과 관리를 위해서 필요한 인원을 제공해야 한다.
2) 기반구조
건물, 장비(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운송자원, 정보통신 기술 등과 같은 적합한 제품 및 서비스의 달성에 필요한 기반구조를 제공해야 한다(ISO 9001:2015, 7.1.3 참조)
3) 프로세스 운용 환경
사회적(비차별, 평온, 비대립), 심리적(스트레스 완화, 극심한 피로예방, 정서적 보호), 물리적(온도, 열, 습도, 밝기, 공기흐름, 위생, 소음) 환경이 프로세스의 운용에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한다(ISO 9001:2015, 7.1.4 참조). ESD 방지를 위해 제전장비를 준비하거나, 검사를 위해 적절한 밝기의 조명을 준비하는 등의 예를 들 수 있을 것이다.
4) 모니터링 자원과 측정자원
모니터링 자원과 측정자원은 수행되는 업무에 적절해야 한다. 또한 자원의 목적에 지속적으로 적합하도록 유지해야 하며 그 증거로 문서화된 정보를 보유해야 한다.
측정장비는 측정 소급성이 유지 되어야 한다. 측정소급성의 정의를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려운 문제지만, ‘문서화된 끊어지지 않은 교정의 사슬’이라고 정의하도록 한다. 즉 자신이 보유한 장비는 표준과 문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개념이라고 알아두도록 하자.
측정소급성의 개념을 자세히 알고 싶다면, ISO 17025와 국가기술표준원고시 ‘측정결과의 소급성 유지를 위한 지침’을 참고하도록 하자.
측정소급성이 요구사항이거나 필수적일 경우, 측정장비는 검교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문서화된 정보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측정장비는 교정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식별되어야 한다. 실무적으로는 교정필증을 붙이는 것으로 증명하는 경우가 많다.
만일 측정장비가 의도한 목적에 맞지 않는 것으로 발견되었다면, 이전 측정 결과의 유효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는지 규명해야 한다(ISO 9001:2015, 7.1.5.2). 측정장비가 잘못되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면 언제부터 잘못된 것인지 밝힌 후, 잘못된 측정결과를 적용한 데이터는 수정하는 것이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5) 조직의 지식
경험에서 얻었거나 이전 프로젝트에서 얻은 교훈, 문서화되지 않은 지식과 같은 내부 출처 지식 뿐 아니라 표준이나 학계, 고객, 외부공급자로부터 얻은 외부 출처 지식 등은 유지되고 이용 가능해야 한다. 만일 현재 지식을 고려했을 때 추가로 필요한 지식이나 정보가 있다면 최신 정보를 입수하기 위한 방법을 정해야 할 것이다.
'ISO인증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 매뉴얼 만들기 – (17) 인식 (0) | 2018.12.09 |
---|---|
ISO 매뉴얼 만들기 – (16) 역량/적격성 (0) | 2018.12.09 |
ISO 매뉴얼 만들기(QMS) – (14) 변경의 기획 (0) | 2018.12.09 |
ISO 매뉴얼 만들기 – (13) 경영목표 (0) | 2018.12.09 |
ISO 매뉴얼 만들기(EMS) – (12) 조치계획 (0) | 2018.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