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4

ISO 인증관련 자주 묻는 질문

Q. ISO 인증을 받고 싶은데, 어떤 인증을 받아야 하나요? A. 조직의 형태, 인증취득의 목적에 따라 인증의 종류를 정할 수 있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인증은 ISO 9001(품질), 14001(환경) 입니다. 상세 내용은 '질문과 답변'게시판의 'ISO인증의 종류'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Q. ISO 인증의 견적이 궁금합니다. A. ISO 인증의 종류, 조직의 인원수, 업종, 위치 등에 따라 견적이 달라집니다. 상세 견적 문의는 상담 후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Q. ISO 인증서 발급까지 절차와 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A. 계약체결 후 문서심사와 현장심사를 거쳐서 인증서 발급까지 3~4주가 소요됩니다. 계약 체결은 업체 사정에 맞는 가장 적절한 인증원을 추천해 드립니다. ​Q. 인증에..

온라인 컨설팅 2019.10.23

ISO 매뉴얼 만들기 – (21) 문서화된 정보의 관리

문서화된 정보의 작성 또는 갱신 시 필요 사항을 적절히 갖추어야 된다는 것을 지난 글에서 설명하였다. 이제 이렇게 만들어진 문서화된 정보를 어떻게 ‘관리(control)’해야 할 것인지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문서화된 정보를 관리하는 목적 또는 이유부터 살펴보면, ISO 9001, 14001 등의 경영시스템에서는 공통적으로 2가지 사항을 언급하고 있다(ISO 9001, 14001 : 7.5.3) 1) 필요한 장소 및 필요한 시기에 사용 가능하고 사용하기에 적절할 것 2) 충분하게 보호될 것 필요한 장소와 시기에 적절히 사용 가능해야 한다는 의미는, 조직의 모든 관련 분야, 부서, 프로세스 책임자 등에서 이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 제품 및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관련 문서화된 정보..

ISO인증 자료실 2019.09.30

ISO 매뉴얼 만들기 – (20) 문서화된 정보의 작성, 갱신

지난 번 글에서 언급한 문서화된 정보의 일반사항은 조직이 어떠한 정보를 문서화된 정보로 구비할 것인가를 설명하고 있다. 이제 한걸음 나아가 조직이 갖추어야 할 문서화된 정보를 선별하였다면, 이것을 어떻게 작성 또는 갱신할 것인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우선 문서화된 정보의 형성과정, 즉 작성 또는 갱신 시 필요한 기준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ISO 9001, 14001 에서는 다음의 3가지 기준을 제시한다. 1) 식별 및 내용(Identification and description) 문서화된 개개의 정보는 타 정보와 구별되는 특징을 지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개개의 정보가 타정보와 식별(Identification)될 수 있는 제목, 날짜, 작성자, 문서번호 등의 내용(Description)을 가져야 한다..

ISO인증 자료실 2019.09.09

ISO 매뉴얼 만들기 – (19) 문서화된 정보 : 일반사항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후로, 문서와 기록은 인류의 지식을 후대에 전달해주는 가장 유용한 매체였으며, 그 결과 인류는 선대의 지식을 유용하게 후대에 전달할 수 있었다. 현대에 들어와서, 정보 통신과 전자매체의 등장은 오랜 기간 인류의 문서와 기록을 담당하고 있던 종이라는 매체를 많은 부분 대체하게 되었다. 종이에 비해 반영구적이며 경제적인 매체저장 방법은 인류사회에 빠르게 채택될 수 있는 동기가 되었다. ISO 경영시스템 또한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기존의 문서와 기록이라는 종이매체를 가정한 이분법적인 관리방법에서 탈피하여, 문서화된 정보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관심사를 바꾸게 되었다. 대부분의 조직은 많은 양의 정보를 다루고 있으며, 그러한 정보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문서화된 정보가..

ISO인증 자료실 2019.04.29

ISO 용어의 개념 - 정렬성(alignment)이란?

ISO 9001 표준의 개정(2008버전에서 2015버전)에 의해 새로 도입된 개념이다. ISO에 쓰이는 용어를 일개 블로거가 정의를 내린다는 것은 무모한 일일지도 모르나, ISO 9000, 9002, Annex SL, 구글링 등 입수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검색해도 만족할 만한 답을 얻지 못하였으므로, 나름의 방법대로 답을 구하고자 한다. Alignment란 단어가 문제되는 ISO 조항은 ISO 9001:2015의 9.3.1 경영검토의 일반사항이다. 원문에는 다음과 같이 표현되어 있다. Top management shall review ~ to ensure its continuing suitability, adequacy, effectiveness and alignmentwith the strategi..

ISO인증 자료실 2019.01.12

ISO 매뉴얼 만들기 – (18) 의사소통

조직의 지속적 성공을 위해서는 경영시스템의 전략과 방침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ISO 9004, 5.4). 따라서 ISO 9001, 14001에서는 경영시스템과 관련된 내외부 의사소통 프로세스를 수립, 실행 및 유지를 하여야 한다(ISO 9001 14001, 7.4). 의사소통 프로세스를 수립할 때는 프로세스의 내용(what), 시기(when), 대상(with whom), 방법(how), 담당자(who)를 고려하여 수립하도록 한다(ISO 9001 14001, 7.4). 수립된 의사소통 프로세스는 크게 내부 의사소통 프로세스와 외부 의사소통 프로세스로 나눌 수 있다. 내부 의사소통은 경영시스템의 변경을 포함하여 다양한 계층과 부서 간에 경영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를 적절히 의사소통해야 하며, 지..

ISO인증 자료실 2019.01.06

ISO 9001의 2008년판과 2015판의 차이점(개정내용)

1. HLS 구조로 변경기존에는 각각의 표준별로 요구사항의 구성이 상이하여 표준 통합 시 어려움이 있었으나, HLS(High Level Structure)구조라는 일관적인 요구사항 구성방식을 채택하여 각 표준별로 기본구조는 동일한 형태를 띄게 되었다. 2. 용어의 차이 KS Q ISO 9001:2009 KS Q ISO 9001:2015 제품 제품 및 서비스 적용 제외 사용되지 않음(적용 가능성에 대한 설명은 A.5 참조) 경영대리인 사용되지 않음(유사한 책임 및 권한이 부여되지만, 단독의 경영대리인에 대한 요구사항은 없음) 문서화, 품질매뉴얼, 문서화된 절차, 기록 문서화된 정보 업무 환경 프로세스 운용 환경 모니터링 및 측정장비 모니터링 및 측정자원 구매한 제품 외부 제공 제품 및 서비스 공급자 외부공..

카테고리 없음 2018.12.09

ISO 매뉴얼 만들기 – (1) 문서 목록표

기존의 경영시스템을 최신판으로 개정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작업은 기존 매뉴얼과 절차서 등의 문서를 분석하는 일일 것이다. 문서 목록표는 이런 분석작업을 위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절차이며 GAP분석을 위한 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다. 작성요령은 ISO 규격의 요구사항에 맞춰 보유하고 있는 매뉴얼과 절차서를 기입하면 된다. 없는 절차서의 경우는 신규작성을 해야 하며 각 요구사항에 중복되는 절차서의 경우도 인정된다. 요구사항 관련 문서 문서 번호 ISO 9001 ISO 14001 4. 조직상황 4.1 조직 및 조직상황의 이해 조직상황 관리 절차서 IOC-P-101 4.2 이해관계자의 니즈 및 기대 이해 4.3 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결정 경영검토 절차서 경영시스템 매뉴얼 IOC-P-106 IOC-M-1..

ISO인증 자료실 2018.12.09

ISO 매뉴얼 만들기 – (2) 조직상황

ISO 9001, 14001 이 2015년판으로 개정되면서 추가·변경된 내용 중 하나이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l 조직과 경영시스템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주는 외부와 내부 이슈(4.1) l 고객, 법적, 규제적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일관성 있게 제공하기 위해 경영시스템에 관련된 이해관계자와 그에 따른 니즈(needs) 및 요구사항, 준수의무사항(4.2) l 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결정(4.3) l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상호 작용을 포함하는 경영시스템의 수립, 실행, 유지 및 지속적 개선(4.4) 4절의 조직상황은 위와 같이 4개의 세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1절에서는 조직의 내외부 이슈를, 4.2절에서는 이해관계자의 니즈를 파악해야한다. 환경경영시스템에서는 조직의 내외부이슈와 이해관계자의..

ISO인증 자료실 2018.12.09

ISO 매뉴얼 만들기 – (3) 리더십

ISO9001, 14001 의 2015년판에서는 최고경영자의 역할을 리더십과 결부하여 규정하였다. 최고경영자가 ISO경영시스템내에서의 해야 될 책임과 의무를 서술한 규정이며, 이러한 리더십 조항은 PDCA 싸이클의 전과정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리더십의 실증을 위하여 해야 될 사항을 요구사항(5.1.1)과 함께 살펴보면 a) 경영시스템의 효과성에 대한 책무(accountability)를 짐 : 효과성이란 ‘계획된 활동이 실현되어 계획된 결과가 달성되는 정도’ (ISO9000) 라고 규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최고경영자는 경영시스템의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b) 경영방침과 경영목표가 경영시스템을 위하여 수립되고, 조직상황과 전략적 방향에 조화됨을 보장 : 경영방침과 경영목표 수립 시 조직의 상황과..

ISO인증 자료실 2018.12.09